
세계 지방정부의 환경 전문가들이 제주에서 플라스틱 오염을 종식시키기 위한 각국의 사례를 공유하고, 탈플라스틱 실현 해법을 모색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4일 오후 제주부영호텔에서 ‘플라스틱 위기 시대, 지속가능한 전환을 이끄는 지방정부의 해법’이라는 주제로 ‘제13회 세계지방자치단체 환경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탈플라스틱 실천의 핵심 주체인 세계지방정부 관계자들이 모여 탈플라스틱 사회 실현을 위한 세계지방정부의 전략과 실천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포럼에는 한국을 포함해 스리랑카, 에티오피아, 케냐 등 4개국의 지방정부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각 지역의 정책을 공유하고, 지역별 여건에 따른 맞춤형 해법을 토론했다.
오영훈 지사는 “무분별한 플라스틱 생산과 소비가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생태계를 파괴하며 우리 아이들의 미래까지 위태롭게 하는 위기 앞에서 지방정부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상의 실천을 만드는 정책은 현장의 실정을 이해하고, 도민과의 연대를 지속하면서 완성된다”면서 “이러한 연대가 세계적으로 확산돼 지속가능한 지구 공동체로 나아가는 길을 밝혀주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에미 제로노 캡소이(Enmy Jerono KIPSOL) 주한 케냐 대사는 영상 축사를 통해 제주에서 추진 중인 2040 탈플라스틱 정책을 언급하면서 “제주의 대담한 목표는 우리 모두에게 큰 영감을 주며, 전략적 정책과 지역사회의 참여를 통해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케냐는 플라스틱 없는 미래를 향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 모든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함께 힘을 모은다면 플라스틱 오염을 이겨내고 자연이 번성하고 경제가 성장하며 다음 세대가 보다 깨끗하고 건강한 지구를 물려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기조강연자로 나선 사미르 악바르(Sameer Akbar) 세계은행(World Bank) 수석 환경전문가는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세계은행의 주요 활동과 함께 지방정부의 역할을 제언했다. 그는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지방정부의 핵심 역할로 △국가 주도의 핵심 우선순위 도출 △지방정부 간 협력관계 강화 △정책과제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올바른 투자 △국가 사업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지방정부의 정책 수립 등 4가지 핵심 전략을 제시했다.
이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한국위원회 회장인 윤종수 전 환경부 차관을 좌장으로 스리랑카, 에티오피아, 케냐, 제주 등 4명의 지방정부 관계자들이 패널로 참석해 각국의 탈플라스틱 정책을 소개했다.
게타훈 제라렘 게타훈(Getahun Zelalem GETAHUN) 에티오피아 환경보호청 대기오염 선임 전문가는 ‘모든 국민이 깨끗한 환경에 살 권리가 있다’는 헌법에 기반해 환경정책을 수립했다며, 덜 사용하고(Reduce), 다시 사용(Reuse)하고, 다시 활용(Recycle)하는 3R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딜리파 산다루완 힌켄다 무달리게(Dileepa Sandaruwan H HEENKENDA MUDALIGE) 스리랑카 지방정부위원회 지방정부 담당 부국장은 2017년부터 단계적으로 플라스틱 금지 조치를 확대해 2023년 일회용 플라스틱 9종을 추가로 금지했다고 밝혔다. 특히 갈레시에서는 노점상 200명이 생분해성 제품으로 교체하는 ‘플라스틱 프리 도시’ 사례를 소개했다.
멀시 쳅키루이 켄두이와(Mercy Chepkirui KENDUIYWA) 케냐 수자원관리청 수자원관리담당관은 2017년 일회용 플라스틱과 비닐봉투 사용을 금지시켜 많은 쓰레기를 감축시킨 사례와 함께, 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벽돌과 요트를 제작한 사례를 공유했다.
정근식 제주도 자원순환과장은 클린하우스와 재활용도움센터를 통해 분리 배출된 쓰레기를 친환경적으로 소각해 전력과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2040 플라스틱 제로 실현을 위한 일회용컵 보증급제도, 청정 우도 프로젝트, 플라스틱 플로깅 지원 앱 개발 등 주요 정책을 소개했다.
김미정 기자
세계 지방정부의 환경 전문가들이 제주에서 플라스틱 오염을 종식시키기 위한 각국의 사례를 공유하고, 탈플라스틱 실현 해법을 모색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4일 오후 제주부영호텔에서 ‘플라스틱 위기 시대, 지속가능한 전환을 이끄는 지방정부의 해법’이라는 주제로 ‘제13회 세계지방자치단체 환경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탈플라스틱 실천의 핵심 주체인 세계지방정부 관계자들이 모여 탈플라스틱 사회 실현을 위한 세계지방정부의 전략과 실천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포럼에는 한국을 포함해 스리랑카, 에티오피아, 케냐 등 4개국의 지방정부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각 지역의 정책을 공유하고, 지역별 여건에 따른 맞춤형 해법을 토론했다.
오영훈 지사는 “무분별한 플라스틱 생산과 소비가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생태계를 파괴하며 우리 아이들의 미래까지 위태롭게 하는 위기 앞에서 지방정부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상의 실천을 만드는 정책은 현장의 실정을 이해하고, 도민과의 연대를 지속하면서 완성된다”면서 “이러한 연대가 세계적으로 확산돼 지속가능한 지구 공동체로 나아가는 길을 밝혀주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에미 제로노 캡소이(Enmy Jerono KIPSOL) 주한 케냐 대사는 영상 축사를 통해 제주에서 추진 중인 2040 탈플라스틱 정책을 언급하면서 “제주의 대담한 목표는 우리 모두에게 큰 영감을 주며, 전략적 정책과 지역사회의 참여를 통해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케냐는 플라스틱 없는 미래를 향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 모든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함께 힘을 모은다면 플라스틱 오염을 이겨내고 자연이 번성하고 경제가 성장하며 다음 세대가 보다 깨끗하고 건강한 지구를 물려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기조강연자로 나선 사미르 악바르(Sameer Akbar) 세계은행(World Bank) 수석 환경전문가는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세계은행의 주요 활동과 함께 지방정부의 역할을 제언했다. 그는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지방정부의 핵심 역할로 △국가 주도의 핵심 우선순위 도출 △지방정부 간 협력관계 강화 △정책과제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올바른 투자 △국가 사업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지방정부의 정책 수립 등 4가지 핵심 전략을 제시했다.
이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한국위원회 회장인 윤종수 전 환경부 차관을 좌장으로 스리랑카, 에티오피아, 케냐, 제주 등 4명의 지방정부 관계자들이 패널로 참석해 각국의 탈플라스틱 정책을 소개했다.
게타훈 제라렘 게타훈(Getahun Zelalem GETAHUN) 에티오피아 환경보호청 대기오염 선임 전문가는 ‘모든 국민이 깨끗한 환경에 살 권리가 있다’는 헌법에 기반해 환경정책을 수립했다며, 덜 사용하고(Reduce), 다시 사용(Reuse)하고, 다시 활용(Recycle)하는 3R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딜리파 산다루완 힌켄다 무달리게(Dileepa Sandaruwan H HEENKENDA MUDALIGE) 스리랑카 지방정부위원회 지방정부 담당 부국장은 2017년부터 단계적으로 플라스틱 금지 조치를 확대해 2023년 일회용 플라스틱 9종을 추가로 금지했다고 밝혔다. 특히 갈레시에서는 노점상 200명이 생분해성 제품으로 교체하는 ‘플라스틱 프리 도시’ 사례를 소개했다.
멀시 쳅키루이 켄두이와(Mercy Chepkirui KENDUIYWA) 케냐 수자원관리청 수자원관리담당관은 2017년 일회용 플라스틱과 비닐봉투 사용을 금지시켜 많은 쓰레기를 감축시킨 사례와 함께, 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벽돌과 요트를 제작한 사례를 공유했다.
정근식 제주도 자원순환과장은 클린하우스와 재활용도움센터를 통해 분리 배출된 쓰레기를 친환경적으로 소각해 전력과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2040 플라스틱 제로 실현을 위한 일회용컵 보증급제도, 청정 우도 프로젝트, 플라스틱 플로깅 지원 앱 개발 등 주요 정책을 소개했다.
김미정 기자